우리 모두 출퇴근하면서 유튜브 쇼츠로 지루한 출퇴근 시간을 견디는 경우가 있었을 거에요.
최근에 쇼츠를 보다보면 어디선가 본듯한 영상과 익숙한 목소리, AI로 제작된 어설픈 이미지로 만들어져 떨어지는 품질의 쇼츠가 많아 아쉬움을 남기고 있었는데요.
7월 15일자로 유튜브가 정책을 업데이트 하면서 낮은 품질의 쇼츠를 대량 생산해내는 유투버 대상으로 수익창출을 제한하는 정책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이번 정책 업데이트 전에 커뮤니티 상에는 앞으로 AI툴과 TTS를 사용하면 수익창출이 금지된다는 끔찍한 소문이 있었는데,
결론부터 말하자면 7 월 15 일 시행되는 유튜브의 신규 ‘AI 영상 금지’ 조치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유튜브가 실제로 공지한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7 월 15 일 적용되는 실질적 변경 내용 | 기존과 달라지는 점 |
---|---|---|
정책 이름 | “Repetitious content” → “Inauthentic content” (‘반복적 콘텐츠’ → ‘진정성 없는 콘텐츠’) |
용어만 변경해 AI 시대에 맞게 정책 용어 업데이트 및 사례 및 설명 보강 |
적용 범위 | 유튜브 파트너 프로그램(YPP) 수익화 가능 여부 판단 | 커뮤니티 가이드라인·업로드 자체에는 변화 없음 |
핵심 기준 | “대량 제작·반복적·템플릿형 영상은 수익화 불가” | 기존에도 수익화가 제한됐으나, 예시와 설명을 AI 콘텐츠까지 확대 특히 대량 제작으로 의심되는 저품질 반복적인 템플릿이 대상이 됨 |
AI 콘텐츠 취급 | AI 툴을 활용한 콘텐츠 생성에 대해 허용 하지만 독창적 해설·편집·가치 추가가 없으면 ‘진정성 없는 콘텐츠’로 분류돼 수익화 불가 |
“AI = 금지”는 아님 |
YPP 가입 요건 | 구독자·시청시간/Shorts 조회수 기준 변동 없음 | 루머와 달리 문턱 상승·추가 서류 없음 |
출처: 유튜브 공식 도움말 ‘채널 수익화 정책’ 7 월 15 일자 업데이트 항목 Google Help
주요 포인트 자세히 보기
정책 명칭만 바뀌고 내용은 “명확화”
- 유튜브는 ‘반복적(repetitious)’이라는 표현이 AI 자동 생성물·템플릿형 영상 트렌드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다고 판단해 ‘진정성 없는(inauthentic)’으로 용어를 교체했습니다.
- 이미 2019 년부터 동일한 기준으로 수익화를 제한해 왔으며, “새로운 금지”가 아니라 언제부터 적용했는지 명시·사례를 추가한 것입니다. Google Help
AI 영상·TTS·슬라이드쇼 자체는 허용
- 음성합성(TTS) 내레이션, 생성형 AI 이미지·영상 사용은 계속 가능
- **“영상마다 내용·형식이 거의 동일”**하거나 **“설명·가치 추가 없이 자동 돌려 만든 클립”**이면 채널 전체가 YPP 수익화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 예시
- 허용 ✔ : 동일한 인트로 뒤에 주제별로 다른 해설이 들어간 AI 영상, AI로 만든 이미지를 사용했지만 직접 촬영·분석·스토리텔링을 더한 영상
- 불가 ✖ : 템플릿으로 하루 수십 개씩 올린 AI 뉴스 읽기, 아무 설명 없는 슬라이드쇼·BGM 반복 영상
반응(리액션)·리믹스·클립 채널은?
- 유튜브 크리에이터 링크 담당 Rene Ritchie는 “이번 변경은 리액션·클립 자체를 겨냥한 것이 아니며, 의미 있는 해설이나 편집이 있으면 문제없다”라고 공식 영상에서 밝혔습니다. The Economic Times
배경: ‘AI 슬롭(slop)’ 확산 우려
- TechCrunch에 따르면, 최근 저품질 AI 대량 게시물이 늘면서 광고주·시청자 불만이 커졌고, 유튜브가 이를 ‘비진정성 콘텐츠’로 명시해 대규모 수익 창구 차단이 가능하도록 한 것입니다. TechCrunch
창작자에게 필요한 조치
- 콘텐츠 설명·댓글·자막 등에 ‘내가 추가한 가치’를 명확히 남기기.
- 반복 업로드되는 포맷이라면 주제·정보·스토리라인 차별화 확인.
- AI 툴 활용 시 원본·편집본 비교 기록을 보관해 검토 요청 대응.
- 7 월 15 일 이후 수익 아이콘이 황색(제한)으로 변하면 ‘재검토 신청’에서 본인이 추가한 창작 요소를 구체적으로 소명.
FAQ
질문 | 답변 |
---|---|
AI 영상 자체가 삭제되거나 업로드 금지되나요? | 전혀 아닙니다. 문제는 “수익화” 자격이며, 업로드/시청 자체는 커뮤니티 가이드라인을 따릅니다. |
YPP 가입 조건이 더 까다로워지나요? | 구독자 1 000명 + 공개 시청 4 000시간(또는 Shorts 1 천만 뷰/90일) 기준 유지. 변경 없음. The Economic Times |
이미 수익화 중인 채널은 즉시 영향 받나요? | 7 월 15 일부터 순차적으로 자동 재검토가 이뤄집니다. 위반 채널은 경고 없이 수익 창구가 꺼질 수 있으므로 사전 정비 권장. |
AI 음성 합성, 번역 더빙은? | “차별화된 내레이션·부가가치”가 있다면 허용. 순수 기계 낭독만 있는 영상은 제한될 수 있습니다. |
핵심 요약 및 휴멜로 TTS 활용방법
- ‘AI 영상 전면 금지’는 사실이 아니며, 유튜브는 오히려 AI 툴 활용을 환영하고 계속 허용합니다.
- 수익화를 원하는 경우 대량·반복·저품질 ‘비진정성 콘텐츠’를 배제하고 독창성을 입증해야 해서 오히려 휴멜로에서 제공하는 FRTTS의 자연스럽고 레이턴시 없는 AI보이스클로닝 기술 활용이 더욱 필수적 입니다.